임성은조교님의 댓글
임성은조교 작성일5번의 경우 (가)의 2문단에서 보면, 법률은 행동의 옳고 그름을 규정하고 제재함으로써 시민이 미덕을 반복적으로 실천하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법률에 순응했을때 공동선이 실현되는 것이 아닌, 법률을 토대로 '시민이 미덕을 반복적으로 실천해 정의를 내면화' 하였을 때 공동선이 실현되는 것입니다. 2번 선지는 이 작은따옴표 부분이 빠졌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습니다.
이매진 10월 호 w4 d1
작성자juju
본문
5번의 경우 (가)의 2문단에서 보면, 법률은 행동의 옳고 그름을 규정하고 제재함으로써 시민이 미덕을 반복적으로 실천하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법률에 순응했을때 공동선이 실현되는 것이 아닌, 법률을 토대로 '시민이 미덕을 반복적으로 실천해 정의를 내면화' 하였을 때 공동선이 실현되는 것입니다. 2번 선지는 이 작은따옴표 부분이 빠졌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습니다.
4번의 경우 다원성(多元性)이 이미 개별성을 뜻하고 있습니다! 특히 (나)의 2문단 마지막에서 보면 공적 영역은 자유의 실현을 통해 서로 다른 관점들이 교차하며~라고 서술하고 있습니다. 이 문장과 ㄴ의 의미는 완전히 일치합니다.